top of page
frame-g3937ffed6_640.png
새벽 2 - 담믐님.jpg
frame-g3937ffed6_640__.png
1087472.png
바닥_edited.png
바닥.png
바닥선.png
바닥선_edited.png
1-1.png
메뉴2.png
2 본관2.png

 

" 아니면 제 본모습을 찾아가는 것일까. "

꽃3.png
꽃3_edited.png

W. 숭아 | I. 담믐

2-1.png
다야3.png
다야3.png

 

그저 평범하다면 평범한 가정집의 고3, 그리고 침대와 책들이 꽂혀 있는 방. 그리고 그 속의 평범한 나.

나는 특정 계절의 새벽 시간대를 무척이나 좋아한다. 좋아하는 이유는 그저, 세상에 새하얀 눈이 내려오는 것이 까만 높이에 지우개로 지우는 듯한 모습 때문에.

 

 

나는 평소에도 겨울의 새벽시간대에 나가 아무도 밟지 않는 눈을 밟아보거나, 오직 하나의 가로등이

비추는 차가운 벤치에 앉아 꽤 오랫동안 지켜보기도 한다.

 

 

그날도 평범한 날이었다.

 

 

그날은 함박눈이 내리는 날이었다. 평소처럼 적당히 얇은 옷에 코트하나를 걸치곤 새벽에 밖으로 나가

항상 앉아 있는 차가운 벤치에 앉았다. 그렇게 눈을 지켜보던 중 문득 손을 뻗어 손에 눈을 받았다.

눈은 차가웠지만 죽지 않고 점점 쌓여져만 갔다.

 

 

얼마나 지났을까 손이 저릴 때쯤 눈을 후ㅡ하고 불어보았을 때 보인 것은ㅡ...어쩐지 익숙하면서도

서글픈 느낌이 드는 지팡이였다.

 

 

나는 그 조그마한 지팡이를 발견하고 곧바로 집으로 돌아왔다. 마치 그게 목적이었다는 듯이. 그리고

냉동고도, 차가운 창문 밖도 아닌 그저 유리 케이스에 넣어두었다. 결정들로 이루어진 그 차가운 지팡이를 말이다.

 

 

며칠이 지났을까 나는 그 지팡이를 다시 찾았다. 인터넷을 둘러보다 발견한 어느 지역의 계절신 지팡이와 비슷했기에. 그 계절신 이야기는 유명하진 않지만 그 지역에서 오래된 전설처럼 내려온다고 한다.

계절신 최초로 자신의 이익을 위해 능력을 사용해 재앙을 불러일으킨, 처음이자 다신 없을 계절신이기 때문에.

 

 

한 가지 실험을 위해 일주일동안 매일 새벽에 그 지팡이와 밖으로 나왔다. 이 지팡이는 특이하게도

내가 들고 있든 매달고 있든 나와 붙어있어야 커져만 갔는데 특히 눈이 오는 새벽이네 더욱 크게 반응

하였다. 이 지팡이가 나에게 반응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하나 알 수 있는 것은 그 무엇이든 간에

이 지팡이가 원인이라는 것.

 

 

이제 그 지팡이는 내 키보다도 커진 상태가 되었다.

 

 

지팡이와 붙어있으면 있을수록 동화되어 가는 듯 했다. 점점 이상한 기억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맨처음은

얼굴을 알 수 없는 세 명. 곧이어 여러 인간..? 아니 사람들이 보이며 그 기억속의 내가 분노하고 있다.

이상해.

 

 

매일 새벽에 기억속의 내가 미안하다고, 속죄의 말을 뱉는다. 자신이 선택한 결과임에도 불구하고.

 

 

그 자는 알고 있다.

 

 

마지막 기억속의 나는, 화살을 맞으면서 생각한다. 이 폭풍으로 제일 먼저 죽는 것은 “내”가 좋아한

그 두 사람의 계층이 먼저 죽을 것을. 이 욕심이 가득한 자들은 절대로, 절대로 이 폭풍에 죽지 않을

것이라는 것. 그저 욕심이 불러온 화라는 것을 알고 있다.

 

이 자가 겨울신일까ㅡ

 

 

모든 기억을 잃자 나에게 변화가 찾아온다. 눈의 동공이 점점 옅어지는가 싶더니 변했고, 머리카락색이

점점 하얗게 되더니 이내 백발이 되었다. 어째서? 내가 그 겨울신이라도 되는 것일까? 아니, 애초에

내가 이 지팡이를 찾아서?

 

 

겨울신과 동화되어 가는 것일까. 아니면 제 본모습을 찾아가는 것일까.

 

 

하지만 겨울신은 겨울신, 나와는 다르다. 설령 전생이라 하더라도 지금의 나는 겨울신이 아니다.

절대로, 내가 겨울신이 될 수 없으며 반대로 겨울신도 내가 될 수 없다. 이 죄는 나의 죄가 아니며 또한 그 벌은 이미 받았다.

 

 

머리카락이 다시 돌아오기 시작한다.

메뉴1.png
3 별관.png
다야.png
mandala-g288051fbb_640-removebg-preview.png
bottom of page